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3 2025년 산업안전보건교육(위험기계기구 작업안전과 사고 예방) 1. 다음은 기계설비의 위험점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왕복운동을 하는 동작부분과 움직임이 없는 고정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으로 왕복운동과 고정부 사이에 발생한다.①협착점②끼임점③절단점④물림점--> 협착점에 대한 설명으로 프레스 금형 조립 부위, 프레스 브레이크 큼형 조립 부위 등이 있다. 2. 다음은 위험기계기구 중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인간을 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가드 또는 장치를 말한다.①방호②방화③방수④방염--> 방호에 대한 설명이다. 3. 다음은 크레인 작업안전 안전대책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①중령물 취급 작업계획서 작성②크레인 운전원과 작업자 간 신호체계 확립③중량물 형태에 적합한 달기구 사용④컨베이어 점검 보수 시 전원 차단--> 컨베이어 점검 보수 시.. 2025. 5. 6. 2025년 산업안전보건교육(업무상 재해와 재해 유형) 1. 다음은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①업무 중에 일어난 사고②업무로 인한 질병③출퇴근 중 일어난 사고④고의로 인한 사고--> 고의 사고는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2. 다음 중 업무수행 중 사고에서 제외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①사업주의 구체적인 지시를 위반한 행위②근로자의 사적 행위③정상적인 출장 경로를 벗어났을 때 발생한 사고④사업주의 지시를 받아 사업장 밖에서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 사업주의 지시를 받아 사업장 밖에서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는 업무수행 중 사고에 포함이 된다. 3. 다음은 산업안전용어 중 업무상 질병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①업무수행 과정에서 물리적 인자, 화학물질, 분진, 병원체 등을 취급할 .. 2025. 5. 6. 2025년 산업안전보건교육(안전보호구의 이해와 관리) 1. 다음 중 안전보호구의 구비요건의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①착용하여 작업하기 쉬울 것②마무리가 양호할 것③디자인은 중요하지 않음④유해위험물질로부터 보호성능이 충분할 것--> 안전보호구는 외관이나 디자인이 양호해야 한다. 2. 다음은 방음용보호구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①사용자의 작업환경에서 발생되는 소음수준 등에 적합한 방음용보호구를 선택해야 한다.②사용자느 ㄴ개인전용의 방음용보호구를 사용하고, KCs 인증마크가 있는 방음용보호구를 사용해야 한다.③방음용보호구의 종류에는 귀마개, 귀덮개가 있다.④방음용보호구의 등급은 A형, AB형, AE형, ABE형이 있다.--> 방음용보호구의 등급은 1종, 2종이 있다. 3. 다음은 안전보호구 관리 중 안전모 사용법 및 관리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 2025. 5. 6. 2025년 산업안전보건교육(소음성 난청의 예방관리) 1. 다음은 어떤 작업에 대한 정의인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①청력작업②소음작업③감정노동④중량물 작업--> 소음작업에 대한 설명이다. 2. 다음이 설명하는 프로그램은? 근로자의 청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음측정, 공학적 소음제어와 행정적 관리, 청력보호구 착용, 청력검사 및 의학적 판정, 보건교육 및 훈련, 기록보관 및 프로그램 효과 평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①청력보존 프로그램②소음방지 프로그램③청력 프로그램④감청 프로그램--> 청력보존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이다. 3. 다음은 소음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①사람이 원하지 않는 소리는 소음이다.②정신적, 신체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소리는 소음이다.③소음 규제 기준 등에서 정하고 있는 큰 .. 2025. 5. 6. 2025년 산업안전보건교육(산업안전보건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이해) 1. 산재보험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①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로 인한 소득상실을 보전②재활서비스를 제외, 요양서비스 충분 제공③근로자의 직업병으로 인한 소득상실을 보전④성공적인 직업복귀 도모-->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와 직업병으로 인한 소득상실을 보전해 주고 요양서비스와 재활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여 성공적인 직업복귀를 도모해 주는 보험으로 재해예방과 그 밖에 근로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사회보험제도를 말한다. 2.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해야하는 것은?①재해조사②원인강구③긴급처리④대책수립-->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먼저 긴급처리하고 누가 언제 어디서 등 재해조사를 실시하고 재해의 원인을 분석하는 원인강구를 하고 그 강구에 맞게 대책을 수립한다. 3. 다음은 산업재해.. 2025. 5. 6. 2025년 산업안전보건교육(근골격계질환 예방과 관리) 1. 다음은 작업환경 개선방법 중 작업표준설정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①새로운 기기 또는 설비 등을 도입하였을 경우에는 그때마다 작업표준을 재검토하여 작성한다.②작업시간, 작업량 등을 정할 때에는 작업내용, 취급중량, 자동화 등의 상황, 보조기구의 유무,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수, 성별, 체격, 연령, 경험 등을 고려한다.③컨베이어 작업 등과 같이 작업속도가 기계적으로 정해지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신체적인 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④야간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낮시간에 하는 동일한 작업의 양보다 적은 수준이 되도록 조절한다.--> 컨베이어 작업 등과 같이 작업속도가 기계적으로 정해지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신체적인 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작업속도가 되도록 한다. 2. 다음은 근골격.. 2025. 5. 6.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