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

호스피스 완화의료 선택 가이드 - 언제, 어떻게, 왜 선택해야 할까?" 삶의 마지막 순간을 어떻게 맞이하고 싶으신가요? 아픔과 고통 속에서 힘들어하는 것보다는 편안하고 존엄하게 마무리하고 싶으신가요? 많은 분들이 품는 바람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종 환자의 90% 이상이 병원에서 생을 마감하지만, 정작 본인이 원하는 임종 장소로 병원을 선택한 비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합니다. 이는 아직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는 말기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유지하며 평화로운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 의료 서비스입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는 호스피스를 '죽음'과 동일시하거나, 적극적 치료를 포기하는 것으로 오.. 2025. 5. 1.
주요 진료과 약어 정리 내과 계열IM(Internal Medicine) - 내과GI(Gastroenterology) - 소화기내과CR(Cardiology) - 순환기내과NE(Neurology) - 신장내과RHE(Rheumatology) - 류마티스내과END(Endocrinology & Metabolism) - 내분비내과HEM/ONC(Hematology & Oncology) - 혈액종양내과INF(Infectious Disease) - 감염내과PUL(Pulmonology) - 호흡기내과ALL(Allergy & Immunology) - 알레르기내과외과 계열GS(General Sugery) - 일반외과CS(Cardiothoracic Surgery, CTS) - 흉부외과NS(Neurosurgery) - 신경외과OS(Orthopedic .. 2025. 3. 25.
항생제 내성균의 종류와 간호사의 역할 최근 의료 환경에서 항생제 내성균(Antibiotic-Resistant Bacteria) 감염이 증가하면서 감염 예방 및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항생제 내성균은 기존의 항생제로 치료가 어려운 균주로,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이 되며, 감염된 환자의 치료를 복잡하게 만든다.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항생제 내성균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간호사가 알아야 할 감염 예방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볼 것이다.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1. 특징메티실린을 포함한 대부분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황색포도상구균주로 수술 후 감염, 폐렴, 균혈증, 피부 감염을 유발병원 내 감염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감염도 증가하.. 2025. 3. 24.
인슐린의 종류와 간호사의 역할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해 필수적인 치료법 중 하나가 인슐린 투여이다. 인슐린은 작용 속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인슐린을 선택하고 올바르게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인슐린의 종류와 각 특징, 그리고 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것이다. 초속효성 인슐린(Rapid-acting insulin)대표적인 약물 : 아스파트(Aspart), 리스프로(Lispro), 글룰리신(Glulisine)작용시작 : 10-30분 내최고 혈중 농도 도달 : 1-3시간 내지속 시간 : 3-5시간식사 직전 또는 직후 투여주의사항 : 저혈당 위험이 있으므로 식사 직전에 투여해야 함, 혈당 변동성이 크므로 주의 깊은 모니터링 필요속효성 인슐린(Short-.. 2025. 3. 23.
채혈 검체 담는 순서와 각 튜브의 용도 정확한 혈액 검사는 올바른 채혈 과정에서 시작된다. 검체의 오염을 방지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특정한 순서로 채혈을 진행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채혈 검체를 담는 순서와 각 튜브의 역할을 알아볼 것이다. Blood culture(혈액배양 검사) 용도 :혈액 내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특징 :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배지가 포함된 두 개의 보틀(호기성 및 혐기성)로 구성된다. 감염증이 의심될 때 필수적인 검사이다. Sodium Citrate Tube(하늘색 튜브) 용도 : 혈액 응고 인자, 혈소판 기능 검사(PT, aPTT)특징 : 나트륨 시트레이트가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여 응고 검사가 가능하게 한다. 혈액과 시트레이트가 1:9 비율로 혼합되어야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며, 채혈.. 2025. 3. 23.
마취 후 간호의 중요성 : 병동에서 알아야 할 필수 사항 수술 후 환자가 병동으로 이동하면, 병동 간호사는 환자의 회복 관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마취 후 환자의 상태를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예상 가능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번 글에서는 마취 후 병동 간호사들이 꼭 알아야 할 관리 포인트를 정리해 보려고 한다. 마취 후 환자 모니터링의 중요성 마취 후 환자는 호흡 억제, 혈압 변동, 의식 저하, 통증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병동으로 도착하면 초기 평가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호흡 상태 : 산소포화도(SPO2), 호흡수(RR)의식 수준 : 회복 정도(GCS, AVPU)활력징후(Vital Sign) : 혈압(BP), 심박수(HR), 체온(BT)통증 사정 : NRS(숫자통증척도) 확인출혈 여.. 2025.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