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은 기계설비의 위험점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왕복운동을 하는 동작부분과 움직임이 없는 고정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으로 왕복운동과 고정부 사이에 발생한다.
①협착점
②끼임점
③절단점
④물림점
--> 협착점에 대한 설명으로 프레스 금형 조립 부위, 프레스 브레이크 큼형 조립 부위 등이 있다.
2. 다음은 위험기계기구 중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인간을 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가드 또는 장치를 말한다.
①방호
②방화
③방수
④방염
--> 방호에 대한 설명이다.
3. 다음은 크레인 작업안전 안전대책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중령물 취급 작업계획서 작성
②크레인 운전원과 작업자 간 신호체계 확립
③중량물 형태에 적합한 달기구 사용
④컨베이어 점검 보수 시 전원 차단
--> 컨베이어 점검 보수 시 전원 차단은 컨베이어 작업안전대책이다.
4. 다음은 산업용 로봇 작업안전에서 안전대책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출입문 연동장치 설치
②안전매트 또는 감응형 방호장치 설치 및 정상작동 유지
③고소작업대 안전 난간 파손 탈락 여부 확인
④산업용 로봇 셀에는 높이 1.8미터 이상의 방책 설치
--> 고소작업대 안전 난간 파손 탈락 여부 확인은 고소작업 작업안전 대책이다.
5. 다음은 기계설비의 위험점 중 어떤 물림점에 대한 설명인가? 회전하는 부분의 접선 방향으로 물려 들어갈 위험이 존재하는 위험점으로 회전운동과 접선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위험으로 접선 물림점의 위치가 회전운동과 접선부가 만나는 곳이다.
①접선물림점
②회전물림점
③절단물림점
④끼임물림점
--> 접선물림점에 대한 설명이다.
6. 다음은 컨베이어 작업 시 위험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점거 보수 시 전원 미차단
②회전부(구동부 등) 덮개 미설치
③컨베이어에서 떨어짐
④프레스 방호장치 무효화
-> 프레스 방호장치 무효화는 프레스 작업 시 위험요인이다.
7. 다음은 지게차 작업 시 위험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지게차 수리 중 포크 낙하
②헤드가드와 바닥 사이에 끼임
③지게차와 작업자가 부딪힘
④전원이 차단되어 있지 않음
-> 전원이 차단되어 있지 않음은 정전작업 시 위험요인이다.
8. 다음 중 접선 물림점으로 맞는 것은?
①왕복운동 + 고정부
②직선운동 + 고정부
③회전운동 + 접선부
④돌기회전부
9. 다음 중 컨베이어 작업안전에서 안전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컨베이어 점검 보수 시에는 불시동작을 예방하는 조치 실시
②컨베이어 점검 보수 시 전원 차단
③컨베이어 이물질 제거 시에는 전원 차단 후 실시
④프레스(양수조작식 안전장치 및 광전자식 안전장치) 설치 및 정상작동
-> 프레스(양수조작식 안전장치 및 광전자식 안전장치) 설치 및 정상작동은 프레스 작업안전의 안전대책이다.
10. 다음은 산업용 로봇 작업 시 위험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로봇방호장치 무효화로 인한 보호영역 출입
②비정형작업 시 산업용 로봇 불시 기동으로 인한 위험
③산업용로봇 작업반경 내 접근으로 인한 위험
④작업대 상승 중 운행하여 구조물에 끼임
->작업대 상승 중 운행하여 구조물에 끼임은 고소작업 시 위험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