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산업안전보건교육(업무상 재해와 재해 유형)

by sun and moon 2025. 5. 6.
728x90

 

반응형

1. 다음은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업무 중에 일어난 사고

②업무로 인한 질병

③출퇴근 중 일어난 사고

④고의로 인한 사고

--> 고의 사고는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2. 다음 중 업무수행 중 사고에서 제외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사업주의 구체적인 지시를 위반한 행위

②근로자의 사적 행위

③정상적인 출장 경로를 벗어났을 때 발생한 사고

④사업주의 지시를 받아 사업장 밖에서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

--> 사업주의 지시를 받아 사업장 밖에서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는 업무수행 중 사고에 포함이 된다.

 

3. 다음은 산업안전용어 중 업무상 질병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업무수행 과정에서 물리적 인자, 화학물질, 분진, 병원체 등을 취급할 때 발생되는 질병이 해당

②신체에 부담을 주는 업무, 과로 등 근로자의 건강에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발생되는 질병이 해당

③사업장의 각종 요인에 노출되어 발생한 질병이 해당

④그 밖에 업무와 관련해 발생한 질병은 업무상 질병은 아님

--> 그 밖에 업무와 관련해 발생한 질병도 업무상 질병이 될 수 있다.

 

4. 다음은 업무상 사고 재해자와 업무상 질병 재해자의 분류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산업재해가 우발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업무상 사고 재해자]로 분류한다.

②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여 발생하는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 재해자]로 분류한다.

③화학적, 물리적 인자로 인한 질환은 정상적인 작업 중에 장시간 노출되어 만성 중독 손상을 입은 경우에 [업무상 질병 재해자]로 분류한다.

④떨어짐 넘어짐 등의 사고 또는 평상시 수행하던 작업과 다른 일시적인 중령물 취급 등의 작업, 동작 행위로 급격하게 발병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 재해자]로 분류한다.

--> 떨어짐 넘어짐 등의 사고 또는 평상시 수행하던 작업과 다른 일시적인 중량물 취급 등의 작업, 동작 행위로 급격하게 발병한 경우에는 [업무상 사고 재해자]로 분류한다.

 

5. 다음은 업무상 재해 유형 중 시설물 결함 등에 따른 사고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사업주가 제공한 시설물, 장비 또는 차량 등의 결함으로 발생한 사고는 포함된다.

②사업주의 관리소홀로 발생한 사고는 포함된다.

③사업주가 제공한 시설물 등을 사업주의 구체적인 지시를 위반해 이용한 행위로 발생한 사고도 포함된다.

④시설물 등의 관리 또는 이용권이 근로자의 전속적 권한에 속하는 경우 그 관리 또는 이용중 발생한 사고는 제외한다.

--> 사업주가 제공한 시설물 등을 사업주의 구체적인 지시를 위반해 이용한 행위로 발생한 사고는 제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