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은 작업환경 개선방법 중 작업표준설정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새로운 기기 또는 설비 등을 도입하였을 경우에는 그때마다 작업표준을 재검토하여 작성한다.
②작업시간, 작업량 등을 정할 때에는 작업내용, 취급중량, 자동화 등의 상황, 보조기구의 유무,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수, 성별, 체격, 연령, 경험 등을 고려한다.
③컨베이어 작업 등과 같이 작업속도가 기계적으로 정해지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신체적인 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④야간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낮시간에 하는 동일한 작업의 양보다 적은 수준이 되도록 조절한다.
--> 컨베이어 작업 등과 같이 작업속도가 기계적으로 정해지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신체적인 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작업속도가 되도록 한다.
2. 다음은 근골격계질환 3대 요인 중 개인적 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생물학적 요인
②개인 작업환경 작용, 자세
③나이 들면서 얻게 되는 자연적 경과
④성별, 인종별 특성에 의한 질환
--> 개별 작업환경 작용, 자세 등은 개별적 작업환경 요인이다.
3. 다음은 근골격계질환의 3대 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개인적 요인
②개별적 작업환경 요인
③집단적 작업환경 요인
④사회심리학적 요인
--> 근골격계질환의 3대 요인은 개인적 요인, 개별적 작업환경 요인, 집단적 작업환경 요인 세 가지이다.
4. 다음은 근골격계질환 3대 요인 중 집단적 작업환경 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작업과정보다는 사업장 전체 작업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노동환경
②인력, 작업시간 및 휴식시간
③고용형태, 작업조직, 신기술 및 신공정
④작업자세, 반복작업 등
--> 작업자세, 반복작업 등은 개별적 작업환경 요인이다.
5. 다음 중 근골격계질환의 원인 중 개별적 작업환경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①고용형태
②작업조직
③반복작업
④임금체계
--> 근골격계질환의 원인 중 개별적 작업환경 요인에는 개별 작업환경 작용, 작업자세, 반복작업, 중량물 작업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