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검사간호완전정복14

X-RAY, CT, MRI… 뭐가 다를까? 이 한 글이면 끝! (간호사 필독) 1. X-RAY(엑스레이) 심층 이해기본 원리와 작동 방식X-RAY는 20세기 초 의학의 혁명을 가져온 기술로, 원리는 놀랍도록 단순합니다. X선(전자기파의 일종)이 인체를 통과할 때, 조직의 밀도와 원자 번호에 따라 X선 흡수율이 달라지는 현상을 이용합니다. X-RAY 기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X선 발생장치에서 고에너지 X선을 방출X선이 인체를 통과인체를 통과한 X선이 디지털 감지기나 필름에 도달감지기가 X선의 강도 차이를 감지해 이미지로 변환이 과정에서 뼈처럼 밀도가 높은 조직은 X선을 많이 흡수해 이미지에 하얗게(방사선 불투과성) 나타나고, 폐처럼 공기가 많은 부분은 X선을 잘 통과시켜 검게(방사선 투과성) 나타납니다. 주요 적용 분야와 진단 가능한 질환X-RAY는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널.. 2025. 5. 22.
단 한 장의 표로 정리한 X-RAY, CT, MRI의 결정적 차이 - 간호사 필수 지식 이 블로그 포스트가 간호사 여러분에게 X-RAY, CT, MRI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단 한 장의 표로 요약한 핵심 정보는 임상 현장에서 환자 교육과 의사결정에 바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영상의학은 현대 의학의 눈이자 귀로,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 계획 수립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로서 이러한 기술의 기본 원리와 적용 분야를 이해하는 것은 환자 케어의 질을 높이고 의료팀 내 소통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발전하는 의료 영상 기술에 대한 지식을 업데이트하면서, 환자들에게 더 나은 케어와 교육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1. 의료 영상의 세계: X-RAY, CY, MRI 기본 이해하기지난 주말 응급실에서 만난 50대 환.. 2025. 5. 21.
감염성 질환(Viral marker)&면역혈청 검사 해석, 주의사항 1. 검사 항목 및 참고치, 임상적 의의검사항목참고치임상적 의의HAV Ab IgMNegative Equivacal 0.80-1.20S/COPositive > 1.20S/CO- Anti-HAV IgM 양성 : 최근 감염 및 초기 감염 의심- Anti-HAV IgG 양성 :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과거 감염 및 면역력 획득 상태 HAV Ab IgGNegative Positive ≥ 1.00S/COHBsAgNegative Positive ≥ 1.00S/CO- HBsAg 양성 : HBV 감염 시 가장 먼저 상승하고, 잠복기에도 검출됨, 6개월 이상 지속 시 만성 HBV 감염- Anti-HBc 양성 : B형 간염에 감염된 적 있음, 회복이나 백신에 의한 면역 형성과는 무관함- Anti-HBs 양성 : 간염의 .. 2025. 1. 11.
혈액응고검사(PT, aPTT) 해석, 주의사항 혈액응고검사(PT, aPTT)1. 검사항목 및 참고치, 임상적 의의검사항목참고치증가감소BT1-8min(검사 방법에 따라 상이)혈소판 감소증, Von Willebrand disease, 선천적 혹은 후천적 혈소판 기능 장애, 혈관 이상, 응고인자V 또는 XI의 심한 결팝, 무 피브리노겐혈증-PT(INR)0.8-1.3응고인자 Ⅰ, Ⅱ, Ⅴ, Ⅷ, Ⅹ의 결핍, DIC, 약제 투여, 무 피브리노겐혈증, 간 장애, 비타민K 결핍 혈전증, Dicumarol 치료에 따른 경과 관찰에 유용급성 혈전성 정맥염, Ether 마취 후, 다발성 골수종 등PT(%)70-140%PT(sec)11.8-15.3secaPTT28.8-45.4sec2, 5, 10, 11, 13 인자 결핍증, Von Willebrand병, 저 또는 무 피.. 2025. 1. 10.
간기능 검사(LFT) 해석, 채혈 시 주의사항 간기능 검사(LFT)1. 검사 항목 및 참고치, 임상적 의의검사항목참고치증가감소Total protein6.5-8.0g/dL신증후군, 중증 간장애, 영양장애, 흡수부전 증후군, 무 감마글로불린혈증염증성 질환, 혈액 희석, 만성 간염, 간경변 초기, 만성 염증성 질환, 악성 종양, 탈수장기간의 단백질 섭취 부족, 장질환(크론병) Albumin3.5-5.5g/dL탈수, 간염회복기전신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류마티스성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등 자가면역질환, 신증후군, 악성 질환, 만성 신부전, 간경변 등ALT0-40IU/L만성 간염, 급성 진행성 간염, 심근경색증, 전염성 단핵구증근육손상-AST0-40IU/L급/만성 간염, 간.. 2025. 1. 9.
신장기능 검사(BUN, Cr) 해석, 채혈 시 주의사항 신장기능 검사 BUN, Cr1. 검사 항목 및 참고치, 임상적 의의검사 항목참고치증가감소BUN혈청 : 8.0-23.0mg/dL소변 : 10.0-20.0g/day급/만성 신장질환, 울혈성 심부전, 쇼크, 스트레스, 최근 심장마비, 심한 화상, 위장관 출혈, 탈수 및 고단백 식이 등심한 간 질환, 영양실조 등Cr혈청 : 0.5-1.2mg/dL소변 ; 아침 첫 소변 : 39.0-259.0mg/dL; 남 : 1.0-2.0g/day; 여 : 0.8-1.8g/day신장 질환-사구체 신염, 신우 신장념, 급성 세뇨관 괴사 등,요관폐색-전립선 질환, 신장 결석 등신장으로의 혈류 감소-쇼크, 탈수, 심부전, 당뇨 합병증 등-CCR71-151mL/min-원발성-이차성 신장 질환, 쇼크, 탈수, 심부전 등GFR60mL/mi.. 2025. 1.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