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기능 검사 BUN, Cr
1. 검사 항목 및 참고치, 임상적 의의
검사 항목 | 참고치 | 증가 | 감소 |
BUN | 혈청 : 8.0-23.0mg/dL 소변 : 10.0-20.0g/day |
급/만성 신장질환, 울혈성 심부전, 쇼크, 스트레스, 최근 심장마비, 심한 화상, 위장관 출혈, 탈수 및 고단백 식이 등 | 심한 간 질환, 영양실조 등 |
Cr | 혈청 : 0.5-1.2mg/dL 소변 ; 아침 첫 소변 : 39.0-259.0mg/dL ; 남 : 1.0-2.0g/day ; 여 : 0.8-1.8g/day |
신장 질환-사구체 신염, 신우 신장념, 급성 세뇨관 괴사 등, 요관폐색-전립선 질환, 신장 결석 등 신장으로의 혈류 감소-쇼크, 탈수, 심부전, 당뇨 합병증 등 |
- |
CCR | 71-151mL/min | - | 원발성-이차성 신장 질환, 쇼크, 탈수, 심부전 등 |
GFR | 60mL/min/1.73m² 이상 | 신장 내 사구체 기능 저하, 신장기능 감소 | - |
반응형
2. 혈액검사에 사용되는 검체통
- Red-top tube : 항응고제가 포함되지 않은 튜브, 주로 혈청 분리를 위한 검체로 사용한다.
- Yellow-top tube(SST) : 혈청 분리 젤이 포함된 튜브로 원심분리 시 안정적으로 혈청을 분리한다.
- GFR 계산을 위한 Cr 검사의 경우 동일한 혈청용 튜브를 사용한다.
- CCR(크레아티닌 청소율)의 경우 깨끗하고 밀폐 가능한 24시간 소변 수집 용기를 사용한다. 일부 검사의 경우 방부제 포함 검체통을 사용할 수도 있다.
- 단순 소변검사를 통해 채취한 샘플로도 일부 크레아티닌 검사가 가능하다.
3. 검체 보관 방법
- BUN, Cr, GFR 계산용 혈액 검체 : 채혈 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다. 냉장보관 24-48시간 내에 분석하는 것을 권장한다. 장기 보관 시 냉동해야 한다.
- CCR 및 24시간 소변 : 채취 중 냉장 보관을 유지해야 한다. 일부 검사는 방부제가 포함된 용기를 사용한다. 마지막 소변 채취 후 신속히 검사실로 전달해야 한다.
- 단순소변 : 채취 후 2시간 이내 분석이 권장된다. 지연될 경우 냉장보관한다.
4. 채취 부위
- 팔의 정맥 : 가장 흔히 사용하는 채혈 부위이다.
- 손등의 정맥 : 팔에서 접근이 어려운 경우 대체 부위로 사용한다.
- 단순 소변 검사 : 중간 소변을 채취하여 오염을 방지한다.
- 24시간 소변 검사 : 첫 소변은 버리고 이후 24시간 동안 모든 소변을 수집한다. 마지막 소변도 포함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5. 채취 시 주의사항
- 용혈 방지 : 강한 흡입력 사용을 피하고, 부드럽게 채혈한다. 용혈은 크레아티닌 및 전해질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적정 채혈량 확보 : 검사 요구량에 따라 충분한 혈액을 채취한다. 부족한 혈액량은 검사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 신속한 혈청 분리 : 채혈 후 원심분리를 통해 혈청을 신속히 분리하여 안정성을 유지한다.
- 청결유지 : 소변 채취 전 외부 생식기를 깨끗이 세척하여 오염을 방지한다.
- 중간 소변 채취 : 단순 소변 검사 시 첫 소변은 버리고 중간 소변을 채취한다.
- 정확한 시간 준수 : 24시간 소변 검사에서는 채취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정확히 기록한다. 첫 소변을 버린 후 모든 소변을 수집한다.
- 방부제 사용 확인 : 필요 시 방부제가 포함된 용기를 사용하여 소변 변질을 방지한다.
- 환자 준비 : 검사 전 과도한 수분 섭취나 탈수를 피해야 한다.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은 검사 전에 의료진과 상의한다.
- 검체 라벨링 : 모든 검체에 환자 정보와 채취 시간을 명확히 기재한다.
6. 검사 항목과 의미
검사 항목 | 의미 |
BUN(혈중 요소 질소) | 단백질 대사로 생성된 요소 질소 농도를 측정, 신장 여과 기능 및 단백질 섭취 상태 반영 |
Cr(크레아티닌) | 근육 대사의 부산물로, 신장 여과 기능을 평가, 신기능 저하 시 혈중 농도 상승 |
CCR(크레아티닌 청소율) | 혈액에서 크레아티닌을 제거하는 신장의 능력을 평가, 24시간 소변과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를 함께 분석 |
GFR(사구체 여과율) | 신장에서 혈액을 여과하는 능력을 수지화, 신기능 저하 시 감소 |
7.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약물
검사 항목 | 증가 초래 가능성 약물 | 감소 초래 가능성 약물 |
BUN | *단백질 대사 증가 : 글루코코르티코이드(스테로이드), 테트라사이클린 *신장 독성 약물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암포테리신B, 반코마이신, NSAIDs *체내 탈수 유발 약물 : 이뇨제(푸로세미드,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
*저단백질 식이를 유도하거나 체내 단백질 대사를 억제하는 약 |
Cr | *신장 독성 약물 : 아미노글리코사이드(겐타마이신, 아미카신), 반코마이신, 시스플라틴, 암포테리신B *혈류 감소 유발 약물 : NSAIDs, ACE 억제제, ABRs *근육 손상 유발 약물 : 스타틴(심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피브레이트 |
*근육량 감소를 유도하거나 단백 동화 스테로이드 사용 시 |
CCR | *신혈류 증가 유발 약물 : 도파민, 테오필린 | *신독성 약물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NSAIDs, ACE 억제제, ARBs *신혈류 감소 유발 약물 : 디곡신 |
GFR | * 이뇨제 사용 후 일시적으로 GFR이 증가할 수 있음. 단, 지속적인 사용 시 GFR 감소 위험 증 | *혈류 감소 유발 약물 : NSAIDs, ACE 억제제, ABRs, 이뇨제 *신독성 약물 : 암포테리신 B,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시스플라틴 |
- 이뇨제 : 탈수 유발로 BUN/Cr 비율 증가, 크레아티닌 청소율 일시적 증가 또는 감소
- 항고혈압제 : ACE 억제제(카프토프릴, 리시노프릴), ARBs(로살르탄, 발사르탄) ; GFR 감소와 크레아티닌 수치 상승 가능
- 항암제 : 시스플라틴, 메토트렉세이트 등 ; 신독성으로 BUN 및 Cr 상승 가능
- 항생제 : 반코마이신, 아미노글리코사이드(겐타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등 ;독성 유발로 BUN 및 Cr 상승 가능
- 항염증제 및 진통제 : NSAIDs(이부프로펜, 나프록센) ; 신혈류 감소로 GFR 저하 및 Cr 상승 가능
- 근육량 관련 약물 : 단백 동화 스테로이드 및 크레아틴 보충제는 크레아티닌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음
- 조영제 : 방사선 조영제는 급성 신손상(AKI)을 유발하여 검사 결과 왜곡 가능
8. 환자 준비 시 의료진 상의가 필요한 약물
- 신독성 약물(암포테리신B, 시스플라틴 등)
- NSAIDs 및 COX-2 억제제
- 항고혈압제(ACE 억제제, ARBs)
- 이뇨제
- 근육 관련 약물(스타틴, 크레아틴 보충제 등)
- 조영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