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43 20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교육(교통안전과 스마트폰 사고 예방) 1. 다음은 운전자 준수사항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①교통 약자(어린이, 장애인, 노인) 보호를 위한 일시 정지②가시광선 투과율(틴팅, Tinting) 기준 준수③불필요한 소음 발생 금지④운전 중 손으로 들고 하는 휴대전화 사용은 됨--> 운전 중 손으로 들고 하는 휴대전화 사용 금지이다. 2. 사업장 내 차량 부딪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이다. 아닌 것은?①사업장 내 교통사고 위험구간 파악해야 한다.②해당 위험구간에 표지판, 경광등 설치해야 한다.③근로자의 이동 통로 확보해야 한다.④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이동 때는 유도자를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이동 때는 유도자를 배치해야 한다. 3. 다음은 스마트폰 과의존 부작용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 2025. 5. 6. 2025년 상반기 산업안전보건교육(건강검진과 관리) 1. 다음은 건강검진 후 관리 시 구분 판정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①A는 건강관리상 사후관리가 필요 없는 근로자(건강한 근로자)②C1은 직업성 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추적검사 등 관찰이 필요한 근로자(직업병 요관찰자)③C2는 일반 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추적관찰이 필요한 근로자(일반질병 요관찰자)④D1은 일반 질병의 소견을 보여 사후관리가 필요한 근로자(일반 질병 유소견자)--> D2가 일반 질병의 소견을 보여 사후관리가 필요한 근로자이다.(일반 질병 유소견자) 2. 사무직 직원의 일반건강진단 실시시기로 맞는 것은?①2년 1회 이상②1년 1회 이상③3년 1회 이상④6개월 1회 이상--> 일반건강진단 대상은 상시 근로자로서 실시시기는 사무직 2년 1회 이상, 그 밖의 근로자는 1.. 2025. 5. 6. 신규 간호사 필독! 수액 종류 헷갈릴 때 이 글 하나면 끝 안녕하세요, 신입 간호사 여러분! 병동 배치 후 처음 마주한 업무 중 가장 난감했던 게 뭐였나요? 저는 단연코 '수액'이었습니다. IV fluid라는 단어는 들어봤지만, 정작 수액 종류나 적응증은 잘 몰랐거든요. Normal saline, dextrose water, Hartmann's solution... 생소한 이름들이 머릿속을 빙빙 돌며 혼란을 가중시켰죠. 밤 근무 중 5% DW와 10% DW 중 어떤 걸 줘야 할지, 셋팅이 잘못되어 수액이 새는 걸 발견했을 때, ringer's lactate가 떨어졌다고 약국에서 연락이 왔을 때... 분명 배웠던 내용인데 기억이 가물가물하고, 선배 간호사들은 바빠 보여 물어보기도 망설여지더라고요. 하지만 이런 혼란은 신규 간호사라면 누구나 겪는 성장통이랍니다. 그.. 2025. 5. 6. 호스피스 완화의료 선택 가이드 - 언제, 어떻게, 왜 선택해야 할까?" 삶의 마지막 순간을 어떻게 맞이하고 싶으신가요? 아픔과 고통 속에서 힘들어하는 것보다는 편안하고 존엄하게 마무리하고 싶으신가요? 많은 분들이 품는 바람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종 환자의 90% 이상이 병원에서 생을 마감하지만, 정작 본인이 원하는 임종 장소로 병원을 선택한 비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합니다. 이는 아직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는 말기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유지하며 평화로운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 의료 서비스입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는 호스피스를 '죽음'과 동일시하거나, 적극적 치료를 포기하는 것으로 오.. 2025. 5. 1. 주요 진료과 약어 정리 내과 계열IM(Internal Medicine) - 내과GI(Gastroenterology) - 소화기내과CR(Cardiology) - 순환기내과NE(Neurology) - 신장내과RHE(Rheumatology) - 류마티스내과END(Endocrinology & Metabolism) - 내분비내과HEM/ONC(Hematology & Oncology) - 혈액종양내과INF(Infectious Disease) - 감염내과PUL(Pulmonology) - 호흡기내과ALL(Allergy & Immunology) - 알레르기내과외과 계열GS(General Sugery) - 일반외과CS(Cardiothoracic Surgery, CTS) - 흉부외과NS(Neurosurgery) - 신경외과OS(Orthopedic .. 2025. 3. 25. 항생제 내성균의 종류와 간호사의 역할 최근 의료 환경에서 항생제 내성균(Antibiotic-Resistant Bacteria) 감염이 증가하면서 감염 예방 및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항생제 내성균은 기존의 항생제로 치료가 어려운 균주로,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이 되며, 감염된 환자의 치료를 복잡하게 만든다.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항생제 내성균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간호사가 알아야 할 감염 예방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볼 것이다.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1. 특징메티실린을 포함한 대부분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황색포도상구균주로 수술 후 감염, 폐렴, 균혈증, 피부 감염을 유발병원 내 감염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감염도 증가하.. 2025. 3. 24.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