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은 직업병 진단 중 유해요인 노출 내용과 정도에 대한 평가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노출 기록은 대상에 포함된다.
②작업환경 측정은 대상에 포함된다.
③생물학적 모니터링은 대상에 포함된다.
④노출의 추정은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 노출의 추정도 대상에 포함된다.
2. 다음은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이다. 무엇인가? 모든 산업장의 직업인들이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이 최고도로 증진 유지되도록 하는 데 있다.
①산업보건
②직무스트레스
③뇌심혈관질환
④근골격계질환
3. 다음은 고온, 고열 환경에 기인하는 직업병의 발생원인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발생원인은 고온, 고습 환경에서의 작업
②발생원인은 복사열이 강하게 작용하는 환경에서의 작업
③발생원인은 열발산이 적고 격심한 근육노동을 하는 경우
④조도불량, 현휘(눈부심)가 과도한 업무에서 장시간 작업하면 눈에 긴장을 강요함으로써 발생
-> 불량조명에 기인하는 직업병의 발생원인이다.
4. 다음 중 직업병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임상적 또는 병리적 소견이 일반 질병과 구분하기 어려움
②임상의사가 관심이 적어 이를 간과하거나 직업력을 소홀히 함
③노출 시작과 첫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시작적인 차이가 없음
④인체에 대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신물질이 많음
-> 노출 시작과 첫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긴 시간적인 차이가 있다.
5. 직업병 예방대책 중 가장 효과적인 관리방법은?
①국소배기장치
②전체환기
③정리정돈
④발생원 대책
-> 발생원 대책은 가장 효과적인 관리방법으로 유해요인 발생 자체를 원천적으로 붕쇄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