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에피네프린이란? 응급상황의 필수 약물 완벽 이해
에피네프린(Epinephrine)은 부신수질에서 분비되는 천연 호르몬이자, 응급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혈관수축제입니다. '아드레날린'이라고도 불리며, 심정지, 아나필락시스, 중증 천식 발작 등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에서 1차 치료약물로 사용됩니다.
에피네프린의 기본 정보
- 일반명: Epinephrine (Adrenaline)
- 약물 분류: 교감신경 작용제 (Alpha & Beta agonist)
- 투여 경로: IV, IM, 기관내, 피하
- 작용 시간: 즉시 작용, 지속시간 1-2분
주요 약리작용
Alpha-1 수용체 자극
- 말초혈관 수축으로 혈압 상승
- 피부, 점막 혈관 수축
- 지혈 효과
Beta-1 수용체 자극
- 심박수 증가 (양성 변시성 작용)
- 심수축력 증가 (양성 변력성 작용)
- 심박출량 증가
Beta-2 수용체 자극
- 기관지 확장
- 골격근 혈관 확장
- 혈당 상승
2. 에피네프린의 작용기전과 약리학적 특성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1) 심장에 대한 작용
- 심박수 증가: Beta-1 수용체 자극으로 SA node 흥분
- 수축력 증강: 심근 수축력 30-50% 증가
- 전도속도 증가: AV node 전도 촉진
- 심박출량 증가: 분당 2-3배 증가 가능
2) 혈관에 대한 작용
- 관상동맥: 확장으로 심근 혈류 증가
- 뇌혈관: 경미한 수축
- 신장혈관: 수축으로 신혈류 감소
- 피부점막: 강한 수축으로 창백 현상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
- 기관지 확장: Beta-2 수용체 자극
- 점액 분비 감소: 기도 저항 감소
- 폐혈관 수축: 폐부종 완화 효과
대사에 미치는 영향
- 혈당 상승: 간 글리코겐 분해 촉진
- 지방분해: 지방조직에서 자유지방산 유리
- 칼륨 이동: 세포 내로 칼륨 이동
3. 임상 적응증별 에피네프린 투여법 가이드
심폐소생술 (CPR) 시 사용
투여 용량 및 방법
- 성인: 1mg (1:1000 용액 1ml 또는 1:10000 용액 10ml) IV
- 소아: 0.01mg/kg (최대 1mg) IV
- 투여 간격: 3-5분마다 반복
- 최대 투여: 제한 없음 (심정지 지속 시)
투여 경로별 특징
- 정맥내 (IV): 가장 선호되는 경로
- 골수내 (IO): IV 확보 불가 시 대안
- 기관내: 권장되지 않음 (효과 불확실)
아나필락시스 치료
1차 치료
- 성인: 0.3-0.5mg IM (1:1000 용액)
- 소아: 0.01mg/kg IM (최대 0.3mg)
- 투여 부위: 대퇴부 외측 (vastus lateralis)
- 반복 투여: 5-15분 후 필요시
중증 아나필락시스
- 에피네프린 지속 주입: 2-10μg/min IV
- 농도: 1:10000 용액 사용
- 모니터링: 지속적 심전도, 혈압 감시
천식 중증 발작
에피네프린 투여 적응증
-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천식 발작
- 기관지확장제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 의식 저하가 동반된 경우
투여 방법
- 성인: 0.3-0.5mg IM 또는 SC
- 소아: 0.01mg/kg IM (최대 0.3mg)
- 반복: 20분 간격으로 최대 3회
4. 에피네프린 투여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과 대처법
심혈관계 부작용
1) 부정맥
- 빈맥: 심박수 >120bpm
- 심실성 부정맥: VT, VF 유발 가능
- 대처법: 리도카인, 아미오다론 준비
2)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80mmHg
- 확장기 혈압 >110mmHg
- 대처법: 니트로글리세린, 칼슘채널차단제 고려
3) 심근허혈
- 흉통, 심전도 변화
- 심근경색 위험 증가
- 대처법: 즉시 심전도 모니터링
신경계 부작용
- 두통: 혈압 상승으로 인한 박동성 두통
- 불안, 초조: 교감신경 자극 증상
- 떨림: 손떨림, 전신 떨림
- 어지러움: 혈압 변화로 인한 증상
대사성 부작용
- 고혈당: 당뇨병 환자 특히 주의
- 저칼륨혈증: 세포 내 칼륨 이동
- 젖산증: 조직 산소 공급 부족 시
부작용 예방 및 관리방법
투여 전 확인사항
- 기존 심혈관 질환 유무
- 복용 중인 약물 (베타차단제, MAO 억제제)
- 갑상선 기능 항진증 병력
투여 중 모니터링
- 지속적 심전도 감시
- 혈압 측정 (2-3분 간격)
- 의식 수준 및 신경학적 증상
- 혈당, 전해질 수치
5. 응급상황별 에피네프린 사용 프로토콜
심정지 상황 프로토콜
즉시 시행사항
- CPR 시작 (30:2 비율)
- 제세동기 준비 및 리듬 확인
- IV 또는 IO 확보
- 에피네프린 1mg IV 투여
- 3-5분마다 반복 투여
지속적 관리
- 고품질 CPR 유지
- 기도 확보 및 환기
- 가역적 원인 치료 (4H, 4T)
- ROSC 후 집중치료
아나필락시스 프로토콜
1분 이내 (즉시)
- 알레르겐 제거 또는 차단
- 에피네프린 0.3-0.5mg IM
- 환자를 눕히고 다리 거상
5분 이내
- IV 확보 및 수액 투여
- 산소 공급 (필요시)
- 항히스타민제 투여 고려
15분 이내
- 스테로이드 투여
- 에피네프린 추가 투여 평가
- 중환자실 이송 고려
천식 중증 발작 프로토콜
초기 평가
- 의식 수준 확인
- 산소포화도 측정
- Peak flow 또는 FEV1 평가
치료 순서
- 고농도 산소 공급
- 속효성 기관지확장제 흡입
- 전신 스테로이드 투여
- 효과 없으면 에피네프린 고려
특수 상황별 고려사항
임신부
- 모체 생명 우선
- 태아 심박동 모니터링
- 자궁 혈류 감소 주의
소아
- 체중 기반 용량 계산
- 투여 부위 선택 중요
- 부모 교육 및 안심
고령자
- 심혈관 부작용 위험 증가
- 저용량부터 시작 고려
- 기존 약물과 상호작용 주의
에피네프린은 응급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 핵심 약물이지만, 강력한 작용만큼 주의 깊은 사용이 필요합니다. 올바른 적응증 판단, 정확한 용량 계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에피네프린 투여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응급상황에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이 환자의 생명을 좌우한다는 것을 항상 기억해야 합니다.
'약물투여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수술 후 꼭 처방되는 PCA(자가조절진통)펌프, 간호사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관리법 (0) | 2025.06.27 |
---|---|
🩺 항생제 투여 전 꼭 확인하세요! AST 검사가 필요한 약물과 불필요한 약물 완벽 정리 (0) | 2025.06.21 |
🚨 간호사라면 꼭 알아야 할 항생제 안전 투여법 | 부작용 99% 예방하는 체크리스트 (0) | 2025.06.14 |
🚨 승압제 투여 중 환자가 위험해진다면? 간호사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가이드 (1) | 2025.06.07 |
헤파린 vs 에녹사파린: 임상에서 놓치면 안 되는 핵심 차이점 가지 (0)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