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물투여가이드

헤파린 vs 와파린 비교: 작용 기전, 용도, 간호 포인트 총정리 - 간호사와 환자를 위한 항응고제 완벽 가이드

by sun and moon 2025. 7. 10.
728x90
반응형
반응형

헤파린과 와파린, 언제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요?

항응고제는 혈전 질환 치료에 필수적인 약물입니다. 그 중에서도 헤파린와파린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응고제죠. 하지만 많은 간호사들과 환자분들이 "언제 헤파린을 쓰고, 언제 와파린을 써야 하는지", "두 약물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해하십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상 현장에서 꼭 알아야 할 헤파린과 와파린의 모든 것을 비교 분석해드리겠습니다.

"헤파린 vs 와파린 완벽 비교 - 항응고제 선택 가이드"


1. 헤파린과 와파린 기본 개요

1-1. 기본 정보 한눈에 비교하기

항목 헤파린 (Heparin) 와파린 (Warfarin)
분류 비타민K 비의존성 항응고제 비타민K 길항 항응고제
형태 UFH, LMWH 정제 (경구용)
투여 경로 정맥 또는 피하주사 경구 복용
작용 시간 빠름 (수분 이내) 느림 (1~3일 후 효과)
지속 시간 짧음 (4~6시간) 길음 (2~5일)
모니터링 aPTT INR
해독제 프로타민 설페이트 비타민K, FFP

1-2. 각 약물의 특징

헤파린의 장점

  • 즉각적인 항응고 효과
  • 신장 기능 저하 시에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
  • 임신 중 사용 가능 (LMWH)

와파린의 장점

  • 경구 복용으로 편리함
  • 장기간 사용에 적합
  • 비용 효과적

2. 작용 기전과 투여 경로 상세 비교

2-1. 헤파린의 작용 기전

헤파린은 안티트롬빈 III(AT-III)와 결합하여 트롬빈(IIa)과 응고인자 Xa를 억제합니다. 이를 통해 즉각적인 항응고 효과를 나타냅니다.

투여 방법

  • UFH (Unfractionated Heparin): 정맥주사 또는 피하주사
  • LMWH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주로 피하주사

2-2. 와파린의 작용 기전

와파린은 간에서 비타민K 의존 응고인자(II, VII, IX, X)의 합성을 억제합니다. 기존 응고인자가 소모된 후에야 효과가 나타나므로 1~3일의 지연 시간이 필요합니다.

투여 방법

  • 경구 복용만 가능
  •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

💡 핵심 포인트: 급성기에는 헤파린으로 즉각적인 항응고 효과를 얻고, 장기 유지요법에는 와파린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항응고제 작용 기전 - 헤파린과 와파린의 작용점 비교"


3. 적응증과 사용 시기의 차이점

3-1. 상황별 약물 선택 가이드

적응증 헤파린 와파린 비고
수술 전후 혈전 예방 ✅ 적합 ❌ 부적합 즉각적 효과 필요
심부정맥혈전증(DVT) ✅ 초기 치료 ✅ 유지 치료 브리징 요법 적용
폐색전증(PE) ✅ 응급 치료 ✅ 재발 방지 생명 위험 시 헤파린 우선
심방세동(AF) ⚠️ 초기만 ✅ 장기 예방 뇌졸중 예방 목적
임신 중 항응고 ✅ LMWH 사용 ❌ 금기 와파린은 기형 유발 위험
신장 기능 저하 ✅ 안전 ⚠️ 주의 헤파린이 더 안전

3-2. 브리징 요법(Bridging Therapy)

브리징 요법이란?
와파린의 느린 작용 시간을 보완하기 위해 헤파린과 와파린을 함께 사용하는 치료법입니다.

적용 과정

  1. 헤파린 투여 시작 (즉각적 항응고)
  2. 동시에 와파린 투여 시작
  3. INR 2.0 이상 안정화 확인
  4. 헤파린 중단, 와파린 지속

728x90

4. 모니터링 지표: aPTT vs INR 완벽 이해

4-1. 헤파린 모니터링 - aPTT

aPT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 목표 범위: 정상치의 1.5~2.5배
  • 검사 주기: 4~6시간 간격으로 조정
  • 정상 범위: 보통 28~35초

aPTT 모니터링 프로토콜

aPTT 결과 조치사항
<1.5배 용량 증량
1.5~2.5배 현재 용량 유지
>2.5배 용량 감량 또는 일시 중단

4-2. 와파린 모니터링 - INR

INR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 목표 범위: 대부분 2.0~3.0
  • 검사 주기: 안정화 후 월 1회
  • 특수 상황: 기계적 심장판막 2.5~3.5

INR 모니터링 일정

  • 초기: 매일 또는 격일
  • 안정화 초기: 주 1회
  • 안정화 후: 월 1회

"항응고제 모니터링 - aPTT와 INR 수치 관리"


5. 주요 부작용과 해독제 비교

5-1. 공통 부작용: 출혈

출혈 위험 징후

  • 잇몸 출혈, 코피
  • 멍이 쉽게 든다
  • 토혈, 흑색변
  • 혈뇨

5-2. 헤파린 특이 부작용

HIT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 혈소판 수치 50% 이상 감소
  • 역설적으로 혈전 형성 위험 증가
  • 즉시 헤파린 중단 필요

헤파린 해독제: 프로타민 설페이트

  • 용량: 헤파린 100 단위당 프로타민 1mg
  • 투여 속도: 분당 5mg 이하
  • 부작용: 알레르기 반응 주의

5-3. 와파린 특이 부작용

피부 괴사

  •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
  • 주로 복용 초기 3~8일 발생

와파린 해독제

  1. 비타민K: 경증~중등증 출혈
    • 경구: 2.5~5mg
    • 정맥주사: 5~10mg
  2. FFP (Fresh Frozen Plasma): 중증 출혈
  3. PCC (Prothrombin Complex Concentrate): 응급상황

6. 임상 간호사 필수 주의사항 TOP 5

1️⃣ 헤파린은 이중 확인 필수

헤파린은 고위험 약물로 분류됩니다. 용량 계산, 투여 전 반드시 두 명의 간호사가 확인해야 합니다.

2️⃣ LMWH 체중 기준 용량 정확히 확인

LMWH는 환자 체중에 따라 용량이 결정됩니다. 최신 체중 확인은 필수입니다.

3️⃣ 와파린 용량 변경 시 INR 확인 필수

INR 수치 확인 없이 와파린 용량을 임의로 변경하면 안 됩니다. 의료진 처방 후 변경해야 합니다.

4️⃣ 브리징 요법 시 중복 투여 주의

헤파린과 와파린을 함께 사용할 때는 출혈 위험이 증가합니다. 더욱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5️⃣ 환자 교육의 중요성

특히 와파린 복용 환자에게는 음식 상호작용, 출혈 증상 인지 등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입니다.


7. 임상 현장에서 자주 받는 질문들 (FAQ)

Q1. 헤파린과 와파린을 동시에 쓰는 이유는?

A: 와파린은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1~3일이 걸리므로, 초기에는 헤파린으로 즉각적인 항응고 효과를 얻습니다. 와파린의 INR이 목표 범위에 안정화되면 헤파린을 중단하는 브리징 요법을 사용합니다.

Q2. 임신 중에는 어떤 항응고제를 사용하나요?

A: LMWH(저분자량헤파린)을 사용합니다. 와파린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 임신 중에는 금기입니다.

Q3. 응급수술이 필요한데 와파린 복용 중입니다. 어떻게 하나요?

A: 즉시 비타민K + FFP 또는 PCC를 투여하여 항응고 효과를 역전시킨 후 수술을 진행합니다. 응급도에 따라 투여 방법과 용량이 달라집니다.

Q4. HIT가 의심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즉시 모든 헤파린 제제를 중단하고 대체 항응고제(아르가트로반, 다나파로이드 등)로 변경해야 합니다. 혈소판 수치와 혈전 형성 여부를 면밀히 모니터링합니다.

Q5. 헤파린 투여 중 출혈이 발생하면?

A: 헤파린을 즉시 중단하고, 심한 출혈의 경우 프로타민 설페이트를 투여합니다. 프로타민은 천천히 투여해야 하며, 알레르기 반응에 주의해야 합니다.

"안전한 항응고제 투여 - 임상 간호사 체크포인트"


헤파린과 와파린, 올바른 선택과 안전한 사용

헤파린과 와파린은 각각 고유한 특성과 장단점을 가진 중요한 항응고제입니다. 급성기에는 헤파린, 장기 유지에는 와파린이라는 기본 원칙을 이해하고, 각 약물의 모니터링 지표와 부작용을 숙지하는 것이 안전한 치료의 핵심입니다.

핵심 요약:

  1. 헤파린: 즉각적 효과, aPTT 모니터링, HIT 주의
  2. 와파린: 지연된 효과, INR 모니터링, 음식 상호작용 주의
  3. 브리징 요법: 두 약물의 장점을 활용한 병용 요법
  4. 간호사 역할: 정확한 모니터링과 환자 교육이 핵심

📋 항응고제 비교 요약표

⚡ 응급상황 대응

헤파린 과용량

  • 즉시 중단 → 프로타민 설페이트 투여
  • 용량: 헤파린 100U당 프로타민 1mg

와파린 과용량

  • 경증: 비타민K 2.5~5mg 경구
  • 중증: 비타민K 5~10mg IV + FFP

🔍 모니터링 체크리스트

헤파린 (aPTT)

  • 목표: 정상의 1.5~2.5배
  • 검사: 4~6시간 간격

와파린 (INR)

  • 목표: 2.0~3.0
  • 검사: 안정화 후 월 1회

⚠️ 금기사항

헤파린: HIT 기왕력
와파린: 임신, 활동성 출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