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실무노하우

수술 전후 간호의 모든 것 | 99% 간호사가 놓치는 핵심 체크리스트 완벽 가이드

by sun and moon 2025. 6. 16.
728x90
반응형

안전한 수술을 위한 체크리스


1. 수술 전 간호 (Preoperative Care)

1-1. 수술 전 환자 사정 (Preoperative Assessment)

수술 전 환자 사정은 안전한 수술과 회복을 위한 첫 번째 단계입니다.

신체적 사정

  • 활력징후 측정: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을 정확히 측정하고 기록
  • 영양상태 평가: BMI 계산, 알부민 수치 확인 (정상: 3.5-5.0 g/dL)
  • 수분전해질 균형: 나트륨, 칼륨, 염화물 수치 확인
  • 심폐기능 평가: 흉부 X-ray, 심전도, 폐기능 검사 결과 검토

심리적 사정

  • 불안 수준 평가: Beck 불안척도 또는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 활용
  • 수술에 대한 이해도: 환자가 수술 과정과 위험성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
  • 지지체계 확인: 가족이나 친구 등 사회적 지지망 파악

1-2. 수술 전 환자 교육

효과적인 환자 교육은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합니다.

필수 교육 내용

1. 금식 지침

  • 고형물: 수술 8시간 전부터 금식
  • 맑은 액체: 수술 2시간 전까지 섭취 가능 (물, 사과주스, 차)
  • 씹는 껌이나 사탕도 금지

2. 수술 후 통증 관리

  • PCA(자가조절진통법) 사용법 교육
  • 통증 척도(0-10점) 사용법 설명
  • 적절한 진통제 사용의 중요성 강조

3. 호흡 운동법

  • 심호흡 운동: 4초 흡입 - 4초 정지 - 8초 호기
  • 인센티브 스피로미터 사용법
  • 기침과 가래 배출법

1-3. 수술 전 준비사항

피부 준비

  • 수술 부위 제모: 수술 직전에 클리퍼로 제모 (면도기 사용 금지)
  • 수술 부위 소독: 클로르헥시딘 또는 포비돈 요오드 사용
  • 감염 예방: 항균 비누로 전신 목욕

약물 관리

  • 복용 중인 약물 검토: 항응고제, 항혈소판제는 수술 전 중단 여부 결정
  • 수술 전 투약: 진정제, 항구토제 등 의사 처방에 따라 투여

2. 수술 중 간호 (Intraoperative Care)

2-1. 환자 안전 관리

환자 확인 절차

  • 3중 확인: 환자명, 등록번호, 수술명 확인
  • Time-Out 절차: 수술팀 전체가 참여하여 최종 확인
  • 알레르기 확인: 약물, 라텍스, 테이프 등에 대한 알레르기 재확인

체위 관리

  • 압박 부위 보호: 젤 패드나 쿠션을 이용하여 압박점 보호
  • 신경 손상 예방: 팔과 다리의 과도한 신전이나 굴곡 방지
  • 순환 장애 예방: 정기적인 체위 변경과 순환 상태 확인

2-2. 감염 관리

무균술 원칙

  • 손 위생: WHO 5-moment 손 위생 지침 준수
  • 무균 가운 착용: 올바른 순서로 착용하고 무균 영역 유지
  • 수술 기구 관리: 멸균 상태 확인 및 무균 조작법 준수

3. 수술 후 간호 (Postoperative Care)

3-1. 마취 회복실 간호

기도 관리

  • 기도 개방성 유지: 하악 거상법이나 구강기도기 사용
  • 흡인 예방: 측위나 반좌위 유지
  •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SpO2 95% 이상 유지

활력징후 모니터링

  • 혈압: 수술 전 기준치의 ±20% 범위 내 유지
  • 맥박: 규칙성과 강도 확인
  • 호흡: 분당 12-20회, 깊이와 양상 관찰
  • 체온: 36-37.5°C 유지

3-2. 병동에서의 수술 후 간호

통증 관리

  • 통증 사정: 정기적인 통증 척도 평가 (최소 4시간마다)
  • 약물적 중재: 의사 처방에 따른 진통제 투여
  • 비약물적 중재: 마사지, 온/냉요법, 이완 요법

상처 관리

  • 상처 관찰: 발적, 부종, 열감, 삼출물 확인
  • 드레싱 교환: 무균술을 이용한 정기적 교환
  • 감염 징후 모니터링: 발열, 백혈구 증가, CRP 상승 확인

조기 이상 (Early Ambulation)

  • 혈전 예방: 다리 운동과 조기 보행으로 정맥혈전증 예방
  • 폐합병증 예방: 심호흡 운동과 기침으로 무기폐 예방
  • 장 기능 회복: 조기 보행으로 장 연동 운동 촉진

3-3. 합병증 예방 및 관리

주요 합병증 및 간호중재

1. 무기폐

  • 예방: 매 2시간마다 심호흡 운동
  • 증상: 호흡곤란, 청진상 수포음 감소
  • 중재: 기침 유도, 체위 변경, 인센티브 스피로미터 사용

2. 정맥혈전증

  • 예방: 조기 보행, 다리 운동, 압박스타킹 착용
  • 증상: 다리 부종, 통증, 홍조
  • 중재: 항응고제 투여, 침상 안정

3. 수술부위 감염

  • 예방: 무균술 준수, 적절한 상처 관리
  • 증상: 발열, 상처 발적, 화농성 삼출물
  • 중재: 항생제 투여, 상처 배액

4. 환자 교육 및 퇴원 준비

4-1. 퇴원 교육

상처 관리 교육

  • 드레싱 교환법: 무균술을 이용한 올바른 교환 방법
  • 감염 징후: 발열, 상처 발적, 화농 등 주의 사항
  • 의료진 연락 시점: 응급상황 판단 기준 제시

활동 제한 사항

  • 일상생활 복귀 시기: 수술 종류에 따른 단계별 활동 증가
  • 운동 제한: 무거운 물건 들기, 격렬한 운동 제한 기간
  • 직장 복귀: 수술 종류와 직업 특성에 따른 복귀 시기

4-2. 추후 관리

외래 추적 관찰

  • 첫 방문: 수술 후 1-2주
  • 상처 회복 확인: 봉합사 제거 시기 결정
  • 합병증 조기 발견: 정기적인 검사와 상담

수술 전후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빠른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간호 영역입니다. 체계적인 사정과 적절한 중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가 최적의 상태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무엇보다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 근거기반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학습과 임상 경험을 통해 전문성을 키워나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