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근경색 응급간호, 골든타임이 생명을 결정합니다
심근경색은 국내 돌연사의 주요 원인으로, 첫 1시간 내 적절한 응급처치가 환자의 생존을 좌우합니다. 간호사의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대응이 환자의 심장 기능을 보존하고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결정적 요소입니다.
📊 심근경색 현황과 응급간호의 중요성
- 발생률: 연간 10만명당 남성 52명, 여성 12명
- 사망률: 병원 도착 전 50%, 적절한 치료 시 5% 이하
- 골든타임: 증상 발생 후 90분 내 재관류 치료
- 간호 효과: 전문 응급간호로 생존율 3배 증가
🔍 심근경색의 분류와 병태생리
STEMI vs NSTEMI
STEMI (ST분절 상승 심근경색)
특징:
- 심전도: ST분절 2mm 이상 상승
- 원인: 관상동맥 완전 폐쇄
- 중증도: 즉시 생명 위험
- 치료: 90분 내 PCI 또는 30분 내 혈전용해제
응급 대응:
- 즉시 심전도: 10분 내 판독
- 산소 공급: SpO2 90% 미만 시
- 정맥로 확보: 굵은 혈관 2개 이상
- 심장내과 호출: 즉시 협진 요청
NSTEMI (비ST분절 상승 심근경색)
특징:
- 심전도: ST분절 하강 또는 T파 역전
- 원인: 관상동맥 부분 폐쇄
- 중증도: 상대적으로 안정적
- 치료: 24시간 내 침습적 전략
응급 대응:
- 지속적 모니터링: 심전도, 생명징후
-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 항응고제: 헤파린 투여
- 안정화: 재발 방지에 중점
심근경색의 해부학적 분류
전벽 심근경색 (Anterior MI)
- 관련 혈관: 좌전하행동맥 (LAD)
- 심전도 변화: V2-V6 유도
- 합병증: 심부전, 심인성 쇼크
- 예후: 가장 중증, 사망률 높음
하벽 심근경색 (Inferior MI)
- 관련 혈관: 우관상동맥 (RCA)
- 심전도 변화: II, III, aVF 유도
- 합병증: 서맥, 방실차단
- 예후: 상대적으로 양호
측벽 심근경색 (Lateral MI)
- 관련 혈관: 좌회선동맥 (LCX)
- 심전도 변화: I, aVL, V5-V6 유도
- 합병증: 승모판 역류
- 예후: 중등도
🚨 심근경색 초기 증상 및 감별 진단
전형적 증상 (Classic Symptoms)
흉통의 특징
- 위치: 흉골 하부, 심장 부위
- 성격: 압박감, 짓누르는 듯한 통증
- 강도: 10점 만점에 7-10점
- 지속시간: 30분 이상 지속
- 방사통: 왼쪽 팔, 목, 턱, 등으로 방사
동반 증상
- 호흡곤란: 80% 환자에서 발생
- 오심, 구토: 특히 하벽 경색 시
- 발한: 식은땀, 창백
- 불안감: 죽을 것 같은 느낌 (sense of impending doom)
비전형적 증상 (Atypical Symptoms)
고위험군의 비전형 증상
여성 환자:
- 소화불량, 상복부 불편감
- 어깨와 목 통증
- 극심한 피로감
- 현기증, 메스꺼움
당뇨 환자:
- 무통성 심근경색 (Silent MI)
- 호흡곤란만 호소
- 갑작스러운 의식 저하
고령 환자:
- 혼돈, 의식 변화
- 갑작스러운 허약감
- 실신 또는 어지러움
감별해야 할 질환
응급 질환
- 대동맥박리: 찢어지는 듯한 통증
- 폐색전증: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 긴장성 기흉: 한쪽 흉통, 호흡곤란
- 식도 파열: 구토 후 심한 흉통
비응급 질환
- 위식도 역류: 식후 작열감
- 근골격계 통증: 체위 변경 시 변화
- 불안장애: 심리적 스트레스와 관련
- 늑간신경통: 날카롭고 찌르는 통증
⚡ 심근경색 응급간호 프로토콜
골든타임 90분 대응 체계
0-10분: 즉시 평가 및 안정화
1. 1차 평가 (Primary Assessment)
- A - Airway (기도): 개방성 확인
- B - Breathing (호흡): 산소포화도, 호흡수
- C - Circulation (순환): 혈압, 맥박, 심전도
- D - Disability (신경): 의식 수준 평가
- E - Exposure (노출): 전신 상태 확인
2. 즉시 시행 사항
- 12유도 심전도: 10분 내 시행 및 판독
- 산소 공급: SpO2 < 90% 시 2-4L/min
- 정맥로 확보: 18G 이상 2개 라인
- 생명징후: 지속적 모니터링 시작
10-30분: 진단 확정 및 치료 시작
1. 심전도 판독
- ST 상승: 2개 이상 인접 유도에서 2mm 이상
- ST 하강: 0.5mm 이상 하강
- T파 변화: 역전 또는 첨예화
- Q파: 병적 Q파 (폭 0.04초 이상)
2. 혈액 검사
- 심근효소: Troponin I/T, CK-MB
- 기본 검사: CBC, 전해질, PT/aPTT
- 신기능: BUN, Creatinine
- 혈당: 당뇨 동반 여부 확인
3. 약물 치료 시작
- 아스피린: 325mg 씹어서 복용
- 클로피도그렐: 600mg 부하용량
- 아토르바스타틴: 80mg 투여
- 메토프롤롤: 혈압 안정 시 25mg
30-90분: 재관류 치료
STEMI 치료 전략
- 1차 PCI (Primary PCI)
- 적응증: STEMI, 24시간 내 증상
- 목표 시간: Door-to-balloon 90분
- 준비사항: 심도관실 호출, 동의서
- 혈전용해제 (Thrombolysis)
- 적응증: PCI 불가능 시
- 금기사항: 출혈 위험, 뇌졸중 과거력
- 약물: Alteplase, Reteplase
심근경색 간호진단 및 중재
우선순위 간호진단
- 심박출량 감소
- 목표: 적절한 심박출량 유지
- 중재: 혈역학적 모니터링, 수액 관리
- 평가: 혈압, 소변량, 의식 상태
- 급성 통증
- 목표: 통증 완화 및 심근 산소 요구량 감소
- 중재: 모르핀 2-4mg IV, 니트로글리세린
- 평가: 통증 척도 0-10점
- 가스교환 장애
- 목표: 적절한 산소화 유지
- 중재: 산소 공급, 체위 조정
- 평가: SpO2 ≥ 95% 유지
- 불안
- 목표: 불안 감소 및 심리적 안정
- 중재: 정보 제공, 정서적 지지
- 평가: 환자 표현 및 행동 변화
약물 치료와 간호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Aspirin)
- 용량: 325mg 부하 후 100mg 유지
- 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 부작용: 위장관 출혈, 알레르기
- 간호: 출혈 징후 관찰, 공복 투여 피함
클로피도그렐 (Clopidogrel)
- 용량: 600mg 부하 후 75mg 유지
- 작용: P2Y12 수용체 차단
- 부작용: 출혈, 혈소판감소증
- 간호: 다른 항응고제와 상호작용 주의
항응고제
헤파린 (Heparin)
- 용량: 체중에 따라 조절 (80units/kg 부하)
- 모니터링: aPTT 60-80초 유지
- 부작용: 출혈, HIT (헤파린 유발 혈소판감소증)
- 간호: 정기적 혈액 검사, 출혈 관찰
베타차단제
메토프롤롤 (Metoprolol)
- 용량: 25mg bid 시작하여 점증
- 효과: 심박수, 혈압 감소, 심근 보호
- 금기: 심부전, 서맥, 천식
- 간호: 생명징후 모니터링, 서서히 중단
니트레이트
니트로글리세린 (Nitroglycerin)
- 용량: 0.4mg 설하정, 5분마다 최대 3회
- 효과: 관상동맥 확장, 전부하 감소
- 부작용: 두통, 저혈압
- 간호: 혈압 모니터링, 직사광선 차단 보관
💔 심근경색 합병증과 간호
기계적 합병증
심부전 (Heart Failure)
발생률: 심근경색 환자의 20-30%
증상: 호흡곤란, 하지 부종, 기좌호흡
간호 중재:
- 체위: 반좌위 또는 좌위
- 산소 공급: 필요에 따라 조절
- 수액 제한: 1-1.5L/day
- 이뇨제: 푸로세마이드 20-40mg IV
- 강심제: 도부타민, 밀리논 (심한 경우)
심인성 쇼크 (Cardiogenic Shock)
발생률: 5-10%, 사망률 50% 이상
진단 기준: 수축기 혈압 < 90mmHg, 심지수 < 2.2L/min/m²
응급 처치:
- 혈역학적 지지
- 노르에피네프린 0.1-0.5㎍/kg/min
- 도부타민 2.5-10㎍/kg/min
- 대동맥 내 풍선펌프 (IABP) 고려
- 원인 치료
- 응급 PCI 또는 CABG
- 기계적 합병증 수술적 교정
유두근 파열 (Papillary Muscle Rupture)
발생: 하벽 경색 시 후내측 유두근
증상: 급성 승모판 역류, 폐부종
응급 대응:
- 즉시 심초음파: 진단 확정
- 수술 준비: 응급 판막 수술
- 혈역학적 지지: IABP, 승압제
전기적 합병증
심실성 부정맥
심실빈맥 (VT)
- 지속성 VT: 30초 이상 또는 혈역학적 불안정
- 치료: 무맥성 시 즉시 제세동, 맥박 있으면 아미오다론
- 예방: 베타차단제, 전해질 교정
심실세동 (VF)
- 응급 상황: 즉시 생명 위험
- 치료: 즉시 제세동 200J, CPR 시작
- 약물: 에피네프린 1mg, 아미오다론 300mg
방실차단 (AV Block)
1도 방실차단
- PR 간격: 0.20초 이상
- 치료: 대부분 관찰, 원인 약물 중단
2도 방실차단
- Mobitz I: 점진적 PR 연장 후 QRS 탈락
- Mobitz II: 갑작스러운 QRS 탈락
- 치료: Mobitz II는 일시적 심박조율기
3도 방실차단
- 완전 해리: P파와 QRS 완전 독립
- 치료: 즉시 일시적 심박조율기
- 약물: 아트로핀 0.5mg, 이소프로테레놀
구조적 합병증
심실중격 결손 (VSD)
발생 시기: 심근경색 후 3-7일
진단: 심잡음, 심초음파
치료: 수술적 교정, IABP 지지
심실 자유벽 파열
발생률: 1-3%, 높은 사망률
증상: 급성 심낭압전, 쇼크
치료: 즉시 수술, 심낭천자
심실류 (Ventricular Aneurysm)
발생: 대개 전벽 경색 후
합병증: 혈전 형성, 부정맥
치료: 항응고제, 필요시 수술
🏥 심근경색 환자의 급성기 간호
중환자실 간호
지속적 모니터링
심전도 모니터링
- 리드 선택: II, V1, V5 유도 주로 사용
- 알람 설정: 심박수 50-120회/분
- 부정맥 관찰: VT, VF, 방실차단 주의
- ST 변화: 재경색 또는 허혈 징후
혈역학적 모니터링
- 동맥혈압: 지속적 또는 15분마다
- 중심정맥압: 수액 상태 평가
- 폐동맥압: 심부전 시 Swan-Ganz 도관
- 심박출량: 열희석법 또는 초음파
활동 제한 및 점진적 증가
1-2일차: 절대 안정
- 침상 안정: 화장실 사용 금지
- 도움: 모든 일상생활 간호사 도움
- 체위 변경: 2시간마다, 부드럽게
- 진정: 필요시 안정제 투여
3-4일차: 제한적 활동
- 침상 가장자리: 앉아있기 허용
- 화장실: 휠체어로 이동
- 자가 관리: 세면, 식사 부분적 허용
- 보행: 병실 내 짧은 거리
5-7일차: 점진적 증가
- 복도 보행: 50-100m 거리
- 계단: 한 층 정도 오르내리기
- 자가 관리: 독립적 수행
- 운동: 가벼운 스트레칭
통증 관리
흉통 평가
- PQRST 사정법
- P (Provocation): 유발 요인
- Q (Quality): 통증의 성격
- R (Radiation): 방사 부위
- S (Severity): 강도 (0-10점)
- T (Timing): 지속 시간, 빈도
통증 완화 중재
약물적 중재
- 모르핀: 2-4mg IV q5-15min prn
- 니트로글리세린: 0.4mg SL q5min × 3
-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복용 시)
비약물적 중재
- 환경 조절: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
- 이완 요법: 심호흡, 근이완
- 체위: 편안한 자세 유지
- 정서적 지지: 불안 감소
영양 관리
급성기 식이 (1-2일)
- 금식: 오심, 구토 시 4-6시간
- 유동식: 맑은 액체부터 시작
- 소량 다회: 심장 부담 최소화
- 저나트륨: 2g/day 이하 제한
회복기 식이 (3일 이후)
- 심장 건강식: DASH diet 적용
- 포화지방: 총 칼로리의 7% 이하
- 콜레스테롤: 200mg/day 이하
- 섬유질: 25-30g/day 증가
- 오메가-3: 생선 주 2회 이상
📋 심근경색 환자 간호 체크리스트
응급실 도착 시 (0-30분)
- 12유도 심전도 10분 내 시행
- 생명징후 측정 및 지속 모니터링
- 18G 정맥로 2개 확보
- 산소포화도 확인, 필요시 산소 공급
- 흉통 사정 (PQRST)
- 심근효소, 기본 혈액검사 처방
- 아스피린 325mg 투여
- 심장내과 협진 의뢰
급성기 간호 (입원 1-3일)
- 지속적 심전도 모니터링
- 생명징후 15분-1시간마다 측정
- 심근효소 추이 관찰
- 부정맥 발생 여부 관찰
- 흉통 재발 여부 확인
- 심부전 징후 모니터링
- 출혈 합병증 관찰
- 약물 부작용 사정
회복기 간호 (입원 4-7일)
- 점진적 활동 증가
- 심장 재활 교육 시작
- 퇴원 약물 교육
- 위험 인자 관리 교육
- 식이 요법 지도
- 금연 상담
- 스트레스 관리 교육
- 외래 추적 일정 확인
퇴원 준비 (입원 7일 이후)
- 약물 복용법 재교육
- 응급 상황 대처법 교육
- 일상생활 주의사항
- 운동 처방 및 제한사항
- 정기 검진 일정
- 심장 재활 프로그램 연계
- 응급실 연락처 제공
- 가족 교육 완료
🏃♂️ 심근경색 2차 예방과 생활 관리
약물 치료 (GDMT: Guideline-Directed Medical Therapy)
이중 항혈소판 요법 (DAPT)
- 아스피린: 100mg/day 평생
- 클로피도그렐: 75mg/day 12개월
- 주의사항: 출혈 위험 모니터링
- 중단 금지: 임의 중단 시 재발 위험
ACE 억제제/ARB
- 라미프릴: 2.5mg bid → 10mg bid
- 효과: 심실 재형성 예방, 생존율 증가
- 부작용: 마른기침, 고칼륨혈증
- 모니터링: 신기능, 전해질 추적
베타차단제
- 메토프롤롤: 25mg bid → 200mg bid
- 효과: 재경색 예방, 부정맥 억제
- 금기: 천식, 심한 서맥
- 목표: 안정시 심박수 60회/분
스타틴
- 아토르바스타틴: 40-80mg/day
- 목표: LDL < 70mg/dL 또는 50% 감소
- 부작용: 근육통, 간효소 상승
- 모니터링: 지질 수치, 간기능
생활 습관 개선
금연
- 필수: 심근경색 후 금연은 필수
- 효과: 재발 위험 50% 감소
- 지원: 금연 클리닉, 니코틴 대체 요법
- 상담: 지속적인 금연 동기 강화
운동
- 시작: 퇴원 후 1-2주
- 강도: 최대심박수의 50-80%
- 빈도: 주 5일, 30분 이상
- 종류: 걷기, 자전거, 수영
식이 요법
- 지중해식 식단: 올리브오일, 견과류, 생선
- 나트륨 제한: 2g/day 이하
- 금주: 또는 남성 2잔, 여성 1잔 이하
- 체중 관리: BMI 18.5-24.9 유지
정기 추적 관리
외래 일정
- 1개월: 약물 부작용, 증상 확인
- 3개월: 지질 수치, 심기능 평가
- 6개월: 운동부하검사
- 1년: 관상동맥 조영술 고려
검사 항목
- 심전도: 허혈성 변화 확인
- 심초음파: 심기능 평가
- 지질 검사: 목표 수치 달성 확인
- 혈압: 130/80mmHg 미만 유지
💓 심근경색 응급간호, 생명을 구하는 전문성
심근경색은 골든타임 90분이 환자의 생존과 예후를 결정하는 응급질환입니다. 간호사의 신속한 판단과 정확한 응급처치,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환자의 심장 기능을 보존하고 완전한 회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 특히 초기 안정화부터 장기 관리까지의 포괄적 간호 접근이 환자의 삶의 질을 좌우합니다.
심근경색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것은 신속한 대응과 전문적인 간호에서 시작됩니다. 매 순간이 소중한 골든타임입니다.
'임상실무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절 환자 간호 완벽 가이드 - 고정부터 재활까지 (0) | 2025.07.11 |
---|---|
화상 환자 간호 실무 가이드 - 응급처치부터 흉터관리까지 (0) | 2025.07.08 |
폐렴 환자 간호 실무 가이드 - 호흡관리부터 합병증 예방까지 (0) | 2025.07.07 |
뇌졸중 환자 재활간호 가이드 - 급성기부터 회복기까지 (0) | 2025.07.06 |
혈액투석 환자 간호 완벽 가이드 - 혈관접근로부터 합병증 관리까지 (0)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