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취 후 간호의 중요성 : 병동에서 알아야 할 필수 사항

by sun and moon 2025. 3. 16.

수술 후 환자가 병동으로 이동하면, 병동 간호사는 환자의 회복 관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마취 후 환자의 상태를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예상 가능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번 글에서는 마취 후 병동 간호사들이 꼭 알아야 할 관리 포인트를 정리해 보려고 한다.

 

마취 후 환자 모니터링의 중요성

 

마취 후 환자는 호흡 억제, 혈압 변동, 의식 저하, 통증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병동으로 도착하면 초기 평가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초기 사정(Initial Assessment)>

  • 호흡 상태 : 산소포화도(SPO2), 호흡수(RR)
  • 의식 수준 : 회복 정도(GCS, AVPU)
  • 활력징후(Vital Sign) : 혈압(BP), 심박수(HR), 체온(BT)
  • 통증 사정 : NRS(숫자통증척도) 확인
  • 출혈 여부 확인 : 수술 부위 및 배액관 체크
마취 후 주요 간호 관리

 

1. 호흡기 관리

마취가 깨는 과정에서 환자는 호흡이 얕거나 불규칙할 수 있으며, 기도 폐쇄 위험도 있다.

 

<호흡 관리 포인트>

  • 산소포화도(SPO2) 92% 이상 유지
  • 필요시 산소 공급(비강 캐뉼라, 마스크 등)
  • 기침 및 심호흡 유도하여 무기폐 예방
  • 의식이 저하된 경우 기도 개방 유지(Head tilt-chin lift, Jaw thrust manuever)

**응급 상황 : 마취 후 호흡 저하

  • 원인 : 마취제 잔여 효과, 진통제(특히 아편계 진통제) 영향
  • 대처법 : 환자의 호흡수 10회/분 이하힐 경우 -> 산소 공급, 필요시 날록손(아편계 해독제) 투여

2. 활력징후(Vital Sign) 모니터링

마취 후 저혈압(Hypotension) 또는 고혈압(Hypertension), 서맥(Bradycardia) 또는 빈맥(Tachycardia)이 발생할 수 있다.

 

<혈압&맥박 관리>

  • 저혈압(수축기 혈압 < 90mmHg) : 수액 공급, 다리 올리기(Trendelenbug 자세)
  • 고혈압(수축기 혈압 > 160mmHg) : 진통 부족 가능성 -> 통증 조절 필요
  • 서맥(HR < 50회/분) : 원인 확인 후, 필요시 아트로핀(Atropine) 투여
  • 빈맥(HR > 100회/분) : 출혈, 통증, 탈수 가능성 평가

**응급 상황 : 마취 후 저혈압

  • 원인 : 수술 중 출혈, 마취제 잔여 효과
  • 대처법 : 수액 공급, 출혈 여부 평가 후 필요 시 수혈

3. 의식 및 신경학적 평가

마취에서 깨어나는 과정은 환자마다 다르다. 일부 환자는 빠르게 회복하는 반면, 일부는 한동안 의식이 혼미할 수 있다.

 

<의식 수준 확인>

  • AVPU 스케일
    A(Alert) : 정상 
    V(Verbal) : 말하면 반응
    P(Pain) : 통증에 반응
    U(Unresponsive) : 반응 없음

**응급 상황 : 의식 저하

  • 원인 : 마취제 잔여 효과, 저산소증, 저혈압
  • 대처법 : 산소 공급, 활력징후 모니터링, 필요 시 마취제 길항제(플루마제닐, 날록손) 투여

4. 통증 관리

마취가 깨면서 환자는 수술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통증 관리 방법>

  • NRS 점수 확인(0-10점)
  • 진통제 투여(경구, 정맥 주사, PCA)
  • 비약물적 방법 : 심호흡, 자세 변경, 냉찜질 등

**주의할 점

  • 아편계 진통제(모르핀, 펜타닐) 사용 시 호흡 저하 여부 체크
  • PCA(자가조절진통법) 사용 환자의 경우 남용 방지 및 효과 모니터링

5. 출혈 및 수액 균형 관리

 

<출혈 여부 체크>

  • 수술 부위 출혈, 배액관 출혈량 확인
  • 출혈량 100-200ml 이상 지속 시 즉시 보고
  • 혈압 저하, 창백, 빈맥 동반 시 내부 출혈 가능성 고려

<수액 균형 유지>

  • 적절한 수액 공급(링거, 하트만액 등)
  • 소변 배출량 체크(30mL/hr 이상 유지)

**응급 상황 : 출혈 쇼크

  • 증상 : 저혈압, 빈맥, 창백, 의식 저하
  • 대처법 : 수혈 고려, 혈압 유지, 응급 조치 시행

6. 배뇨 및 위장관 기능 회복 확인

 

<배뇨 사정>

  • 척추 마취 후 환자는 일시적으로 배뇨 곤란 발생 가능
  • 6-8시간 내 배뇨 없으면 방광 초음파 시행 및 필요시 도뇨관 삽입 고려

<장운동 회복 확인>

  • 장마비 예방을 위해 조기 보행 권장
  • 복부 팽만 및 장음 확인(특히 장마비 위험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