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약성 진통제(Opioid)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by sun and moon 2025. 1. 12.

마약성 진통제는 강력한 통증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 주로 오피오이드 계열로 분류된다. 이 약물은 고대부터 통증 완화 및 진정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대 의료에서는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암 통증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필수적인 치료 옵션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의존성, 남용, 중독과 같은 부작용으로 인해 사회적, 의료적 논쟁의 중심에 서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량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오피오이드 위기가 공중 보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마약성 진통제의 약리학적 이해, 임상적 활용, 부작용 관리, 의존성 예방 등은 의료진에게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반응형

[약리학적 기초]

1. 오피오이드의 주요 분류

  • 천연 오피오이드 : 모르핀, 코데인 (양귀비에서 추출된 알칼로이드)
  • 반합성 오피오이드 : 옥시코돈, 하이드로코돈 (천연 오피오이드를 화학적으로 변형하여 제조)
  • 합성 오피오이드 : 펜타닐, 메페리딘 (완전한 화학 합성으로 제작되며, μ수용체에 높은 친화성을 가짐)

2. 수용체별 작용기전

*μ 수용체(Mu receptor) 

  • 작용 : 강력한 진통 효과, 호흡 억제, 쾌감 유발, 변비 유발
  • 임상적 활용 : 수술 후 통증, 암성 통증, 중증 만성 통증
  • 주의 : μ 수용체 활성은 중독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요인

*κ 수용체(Kappa receptor)

  • 작용 : 중등도 진통, 진정 효과
  • 임상적 활용 : 신경병증성 통증과 같은 비정형 통증 관리
  • 부작용 : 환각 및 정신병적 증상 가능성

*δ 수용체(Delta receptor) 

  • 작용 : 내인성 엔도르핀 활성 조절, 진통 증강 효과
  • 임상적 활용 : 주로 연구 단계에 있음

3. 약물 대사 및 배설

  • 간 대사 : 오피오이드는 간의 CYP450 효소를 통해 대사 된다. (CYP450 억제제(ex : 플루코나졸)와 병용 시 약물 농도 상승 위험)
  • 신장배설 : 주로 대사산물 형태로 배출되며,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용량 조절이 필요하다.

[임상적 사용]

1. 적응증

*급성 통증

  • 예시 : 수술 후 통증, 외상
  • 선택 약물 : 모르핀, 펜타닐(정맥 투여)
  • 특징 : 급성 통증에서는 즉각적 효과가 중요하며, 정맥 투여가 권장

*만성 통증

  • 예시 : 퇴행성 관절염, 신경병증성 통증
  • 선택 약물 : 옥시코돈(경구), 트라마돌( μ 수용체 부분 효능제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 효과 포함)
  • 관리 전략 : 용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효과 및 부작용을 주기적으로 평가

*암성 통증

  • 치료 프로토콜 : WHO 3단계 진통제 사다리 원칙에 따라 경증에서 중증 통증까지 조절
  • 약물 조합 : 모르핀 +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 기타 고려사항 : 환자 맞춤형 투여 경로(경구, 경피 패치 등)

2. 투여 경로

  • 경구 투여 : 만성 통증 관리에서 1차 선택. 간에서 대사 되므로 1차 통과 효과 고려
  • 경피 투여 : 펜타닐 패치, 일정 농도의 약물 방출이 필요할 때 사용. (체온 상승 시 약물 방출이 증가하여 부작용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 정맥 투여 : 급한 상황에서 신속한 효과를 보기 위해 사용. 펜타닐 IV는 1-2분 내 효과 발현.

[부작용 관리]

1. 일반 부작용과 관리

  • 구역질과 구토 : 오피오이드 사용 초기 흔히 발생한다. 연수의 화학수용체 방아쇠 구역 자극되어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대처방법으로는 메토클로프라미드 또는 온단세트론을 병용하는 방법이 있다.)
  • 변비 : 장 평활근의 무스카린 수용체 억제로 발생하며 예방적 완화제 사용이 권장된다. (락툴로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 졸림 및 어지러움 : 중추신경계 억제 효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대처방법으로는 낮은 용량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증량하고, 필요시 낮 시간 투여를 조정하는 것이 있다.

2. 심각한 부작용과 응급대처

  • 호흡 억제 : 고요량 투여 또는 용량 조절 실패로 발생하며 , 날록손(Naloxone) 0.4-2mg 정맥투여로 역전 가능하다.
  • 의존성과 중독 : 장기간 사용 시 생리적 의존성과 심리적 중독 위험이 증가한다.(평가 도구 : CAGE-AID설문지, Opioid Risk Tool / 치료 전략 : 메타돈 유지 요법, 부프레노르핀 투여)

[의존성과 남용]

1. 의존성의 메커니즘

  • 생리학적 의존성 : 지속적 사용으로 인해 신체가 약물에 적응하고 금단 증상이 발생한다.
  • 심리적 의존성 : 약물이 통증 외에도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

2. 남용의 위험성

  • 사회적 영향 : 과다 사용으로 노동력 감소, 범죄율 증가
  • 경제적 영향 : 의료비 증가, 생산성 감소

3. 예방 및 치료 접근법

  • 스크리닝 도구 : 환자의 남용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설문지 및 인터뷰
  • 치료 프로그램 : 약물 남용 치료 센터 및 통합적 관리 프로그래밍 필요

[대체 치료법 및 최신 연구]

1. 대체 치료법

  • 물리치료 : 근골겨계 통증 완화를 위한 물리적 접근법
  • 심리치료 : 통증의 심리적 요인을 완화하기 위한 인지 행동 치료
  • 대체 요법 : 침술, 명상, 마사지 등
  • 비마약성 진통제 : NSAIDs, 아세트아미노펜은 염증성 통증 및 경증 통증 관리에 유용하다. 

2. 최신 연구 동향

  • 새로운 오피오이드 수용체 적용제 : 부작용 감소를 목표로 한 선택적 작용제 개발
  • 유전적 치료 : 통증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타깃으로 한 치료법
  • 디지털 헬스 기술 : 통증 관리에 도움을 주는 앱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