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응형
1. 조영제란 무엇인가? - 기본 개념과 종류
조영제(Contrast media)는 의료영상 검사 시 병변이나 장기의 구조를 더 명확하게 관찰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입니다. 간호사로서 조영제의 정확한 이해는 환자 안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주요 조영제 분류
요오드 조영제 (Iodinated Contrast)
- CT, 혈관조영술에 주로 사용
- 이온성과 비이온성으로 구분
- 비이온성이 부작용 발생률이 낮음
가돌리늄 조영제 (Gadolinium-based)
- MRI 검사에 주로 사용
-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 신원성 전신섬유증(NSF) 위험
바륨 조영제 (Barium sulfate)
- 위장관 검사에 사용
- 경구 또는 관장으로 투여
조영제 선택 기준
환자의 신기능, 알레르기 병력, 검사 부위에 따라 적절한 조영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eGFR이 30mL/min/1.73m² 미만인 환자의 경우 조영제 유발 신병증(CIN)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조영제 투여 전 필수 사정 포인트
조영제 투여 전 체계적인 사정은 부작용을 예방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필수 확인 사항
1. 알레르기 병력 확인
- 이전 조영제 사용 시 부작용 경험
- 해산물, 요오드 알레르기 (직접적 관련성은 낮으나 주의 필요)
- 천식, 아토피 등 알레르기 질환
2. 신기능 평가
-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확인
- eGFR 계산 및 평가
- 당뇨병, 고혈압 등 신기능에 영향을 주는 기저질환
3. 약물 복용력
- 메트포르민 복용 시 검사 후 48시간 중단 고려
- 이뇨제, ACE 억제제 등 신기능에 영향을 주는 약물
- 베타차단제 복용 시 아나필락시스 치료 시 주의점
환자 교육 및 준비사항
검사 전 수분 공급
- 검사 6-12시간 전부터 충분한 수분 섭취
- 정맥내 0.9% 생리식염수 1mL/kg/hr로 12시간 전후 투여 권장
금식 지침
- 응급상황이 아닌 경우 4-6시간 금식
- 당뇨 환자의 경우 혈당 조절 상태 확인
3. 조영제 부작용의 종류와 증상
조영제 부작용은 발생 시점과 중증도에 따라 분류되며, 간호사는 각 단계별 증상을 정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급성 부작용 (투여 후 1시간 이내)
경증 (Mild)
- 발생률: 약 3-12%
- 증상: 두드러기, 가려움, 경미한 피부 발진
- 대응: 관찰 및 증상 완화 치료
중등도 (Moderate)
- 발생률: 약 0.04-0.7%
- 증상: 기관지 경련, 후두부종, 혈압 변화
- 대응: 즉시 의료진 보고 및 약물 치료
중증 (Severe)
- 발생률: 약 0.004-0.02%
- 증상: 아나필락시스, 심정지, 호흡부전
- 대응: 응급처치 및 중환자실 치료
지연성 부작용 (투여 후 1시간-7일)
피부 반응
- 홍반, 두드러기, 수포 형성
-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등 중증 피부 반응 가능
신장 독성
- 조영제 유발 신병증 (CIN)
- 투여 후 48-72시간 후 크레아티닌 상승
4. 응급상황 발생 시 간호중재
조영제 부작용으로 인한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간호중재가 환자의 생명을 좌우합니다.
아나필락시스 응급처치
1차 처치 (즉시 시행)
- 의료진 즉시 호출
- 환자를 앙와위로 눕히고 다리를 올림
- 기도 확보 및 산소 투여 (15L/min)
- 혈압, 맥박, 호흡,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약물 치료
- 에피네프린: 성인 0.5mg IM (대퇴부 외측), 15분마다 반복 가능
- 스테로이드: 메틸프레드니솔론 1-2mg/kg IV
- 항히스타민제: 디펜히드라민 25-50mg IV/IM
심폐소생술 준비
필수 장비 점검
- 제세동기 준비 및 작동 확인
- 기관내삽관 도구 준비
- 정맥로 확보 (14G 이상 권장)
팀 접근법
- 각 팀원의 역할 분담 명확화
- 의사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 정확한 기록 및 시간 체크
5. 조영제 사용 후 환자 모니터링
조영제 투여 후 적절한 모니터링은 지연성 부작용을 조기 발견하고 환자 안전을 보장하는 핵심입니다.
단기 모니터링 (24시간 이내)
활력징후 관찰
- 투여 후 30분, 1시간, 2시간 간격으로 측정
-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 산소포화도
- 특이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진 보고
신기능 모니터링
- 소변량 측정 (최소 0.5mL/kg/hr 유지)
- 소변 색깔 및 성상 관찰
- 부종, 체중 변화 확인
장기 모니터링 (48-72시간)
혈액검사 추적
- 혈청 크레아티닌, BUN 수치 확인
- CIN 진단 기준: 베이스라인 대비 크레아티닌 25% 이상 증가 또는 절대값 0.5mg/dL 이상 증가
환자 교육
- 충분한 수분 섭취 (하루 2-3L)
- 이상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
- 메트포르민 복용 환자의 경우 재개 시점 안내
반응형
'응급간호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근경색·협심증 초기증상 완전정리 | 골든타임 놓치면 위험한 심장질환 신호 (1) | 2025.06.12 |
---|---|
🚨 항암제 피부 접촉 시 나타나는 증상 7가지 - 간호사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응급대처법 (1) | 2025.06.10 |
병동에서 생명을 구하는 골든타임 3분: 반드시 알아야 할 응급 주사제 3종 완벽 가이드 (0) | 2025.06.02 |
응급상황 시 우선순위 판단과 대응법 - 실전 가이드🚨 (0) | 2025.05.29 |
뇌졸중 전조증상 알고 계신가요?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0) | 2025.05.19 |